어제 쓴 글이 무색하게 오늘 바로 방산주들 전체가 하락했습니다.
장초반부터 전체 코스피지수가 소폭 상승한 것에 비하면 전혀 반대로 움직인 거죠.
그 근거로 아래의 뉴스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https://imnews.imbc.com/news/2022/world/article/6339802_35680.html
마크롱 "푸틴이 '긴장고조 않겠다' 확인‥우크라협상 진전가능"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정상과의 연쇄 회담을 한 뒤 우크라이나 주변 지역의 긴장 완화를 위한 협상에서 진전이 이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AFP·인테르팍스...
imnews.imbc.com
그 이후 오래지 않아 푸틴은 곧바로 번복 후 무력 시위를 보였습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209_0001751553
러시아, 우크라이나 위기 해소 노력 진전 부인-CNN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대통령궁 대변인이 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에 진전이 있다는 프랑스측 발표를 부인했다고 미 CNN이 보도했
www.newsis.com
https://imnews.imbc.com/news/2022/world/article/6339948_35680.html
러시아, 우크라 주변서 전폭기·상륙함 동원 무력 시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주변에 핵을 탑재할 수 있는 전략폭격기와 상륙함 등을 동원해 무력 시위를 강화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와 BBC방송 등이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현지시간 8...
imnews.imbc.com
그러니 정말 긴장감이 해소되어서 하락되었다기 보단
전쟁에 가까운 무력 충돌 없이 시간만 지연 되자
자연스레 이 문제가 진짜 무력 충돌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란 기대감이 자리잡았다고 봅니다.
그래서 실제 미 증시와 코스피도 1월말부터 회복세처럼 보이는 조정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 보고요.
따라서
오늘 하락을 했다고는 하지만,
실제 긴장감이 완전히 소멸된 것은 아니고, 수급의 동향을 봐도
개인 외 기타법인 등이 물량을 받아냈다는 점에서
연일 이어진 상승 후 자연스런 하락이라 봅니다.
그러니 푸틴의 러시아가 지금보다 한층 더 강한 어필을 하거나
실제 전쟁 발발과 비견될 정도의 충돌이 보인다면,
다시 상승 흐름을 탈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왜냐면, 그간의 상승분 물량이 모두 이탈한 것은 아직 아니기 때문이죠.
그러기 위해선 3% 정도의 하락이 아니라 최소 10% 이상의 하락이 있어야겠죠.
결론은
아직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만,
일정 이상 하락이 지속된다면, 어쩔 수 없이 관심에서 지워야할 듯 하네요.
본 카테고리의 글은 전문투자가가 아닌 필자가
개인투자의 견해를 넓히기 위한 학습의 목적으로 쓴 글이지 투자를 종용하기 위해서 쓴 글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로 인한 모든 책임은 개인에게 있습니다.
'아빠의 자산관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일단조 코스피 하락 속 다시 상승한 방산주 (0) | 2022.02.12 |
---|---|
미국 뉴욕 증시 주요 3대 지수 일제히 상승 마감 (0) | 2022.02.10 |
러시아 우크라이나 긴장 속 방산주 추세 (2) | 2022.02.08 |
저평가 종목 현대홈쇼핑 자리를 찾아가는 중 (그간 추천종목 추세 정리) (38) | 2021.05.11 |
저평가 구간 종목 현대홈쇼핑, 자회사 현대 L&C의 실적 개선에 주목하자 (40) | 2021.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