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는아빠의 일상

일과 육아, 자산관리

글쓰는아빠의 육아일지 자세히보기

아빠의 자산관리/예적금

적금금리 높은 곳 찾기 은행 별 적금 금리 비교 한 눈에 보자!

글쓰는아빠 2021. 2. 3. 08:50

오늘은 적금금리 높은 곳을 어떻게 알아보는지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접근이 쉬운 방법으로는 재테크 포탈사이트 모네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있겠습니다.

 

 

 

http://finance.moneta.co.kr/saving/bestIntCat02List.jsp

 

MONETA - 예적금대출

 

finance.moneta.co.kr

 

헌데, 막상 실행을 해보면 검색의 정확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걸 알 수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시간으로 작은 지점들의 정보까지 전달되는 건 아니라서 그런 듯 하네요.)

 

 

헌데, 이 정도의 정보를 원하는 것이라면, 한국금융신문이 조금 더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https://www.fntimes.com/html/view.php?ud=2021012418222425848a55064dd1_18

 

[1월 4주] 은행 정기적금(24개월) 최고우대금리 연 2.55%…부산은행 ‘걷고싶은갈맷길적금’

1월 4주차 24개월 기준 은행 정기적금 상품(장병적금 제외) 최고우대금리는 2.55%로 전주와 동일했다. 우대금리를 받으려면 우대조건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적금 상품 가입

www.fntimes.com

 

한국금융신문의 경우에는 지난 1월 첫 주부터 주차별로 업데이트가 되고 있습니다. 사이트 내 검색창에서 '적금금리' 라고 검색하시면 매주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확인하실 수가 있겠습니다. 우대금리가 높은 순으로 상품명까지 정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훨씬 접근하기가 좋습니다.

 

헌데 위 모네타 사이트를 이용하여 검색을 해보시면 1금융권임에도 불구하고 적금 금리가 3% 이상으로 검색이 되는 상품들이 종종 있을 겁니다. 이런 경우들은 보통 한도액이 정해져있거나 방카슈랑스 그러니까 은행지점별로 판매하는 보험결합 상품을 구매했을 때 적용되는 우대금리들인 경우가 많으니 개별적인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상호금융조합은 개별 홈페이지로

 

 

여기에서 지난 시간에 언급했었던 상호금융조합과 저축은행들은 개별 홈페이지에서 직접 검색하는 방법을 추천해 드립니다. 어차피 새마을금고나 신협의 경우에는 집 근처나 회사, 직장 근처의 지점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필자 동네 인근 새마을금고 위치를 조회한 결과화면

 

 

개별 홈페이지에 지점별 위치 안내가 나와 있으며, 클릭을 해보시면 지점별로 공시한 상품 이율도 한 눈에 확인이 가능함을 알 수가 있습니다.

 

 

신협은 화면 화단에 안내창으로 연결되는 링크가 별도로 있습니다.

 

 

 

신협의 경우에는 화면 화단부에 안내창으로 연결되는 링크가 별도로 있습니다. 확인이 어려운신 분들을 위해 제가 직접 링크를 연결시켜두겠습니다.

 

 

http://www.cu.co.kr/cu/ad/cuSearch.do

 

신협 홈페이지

신협홈페이지입니다.

www.cu.co.kr

 

 

 

 

시중 1금융권 평균 적금 금리 1.75% 적금이 해답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적금에 대한 이야길 며칠에 걸쳐서 적어봤습니다. 

시중 1금융권 평균 적금 금리가 1.75%라는 점을 고려해 보면, 사실 적금 자체는 자산투자로 결코 현명한 해답은 아닙니다. 대출이자보다도 못한 상품이 인기 있을 리가 없습니다. 모두들 그럴 바엔 대출원금상환하기 바쁘죠. 

 

다만 대출원금과 이자를 납입하고, 고정지출을 뺐을 때 여유금이 푼돈이라도 있다면 그걸 지속적으로 모아뒀다가 상환을 하기 보단 본격적인 투자를 해보셨으면 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대출금 금리가 연간 3%대라면, 투자로 매년 4% 이상의 수익을 보는 날이 오면 그게 더 여유로운 과정이 될 수 있다는 거죠. 

(ELS만 하더라도 주가가 일정 비율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연간 4% 안팎의 수익률을 지급합니다.)

 

그러니 그때까지 지치지말고 우리 모두 지속적으로 도전해봤으면 합니다.

 

 

 

 

반응형